instagram

오프-타임

출판물 정보

필자: 남웅, 유은순, 유지원, 이여로
그래픽 디자인: 프론트도어
편집: 박현, 유은순
페이지: 88p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시각예술창작산실, 아트센터 예술의 시간
발행처: YPC Press
발행일: 2023.11.20.

작가소개 & 출판물 소개

강민숙
강민숙은 서울대학교 조소과, 영상매체예술 연합전공을 졸업하고, 동대학교 조소과 석사, 헤이그 왕립 예술학교 아티스틱 리서치 석사를 받았다. 개인전 《Soothing Songs from an Alien》(송은아트큐브, 2021), 《Three Three Three Actions》(아카이브 봄, 2020) 등을 개최했다. 《썸머 러브》(송은, 2022), 《Parasites of the Imaginary》(The Balcony, 헤이그, 네덜란드, 2021-22), 《Solo & Happy?!》(Het Nutshuius, 헤이그, 네덜란드, 2019) 등에 참여했다.

배윤환
배윤환은 경원대학교 회화과 석사를 졸업하였다. 개인전 《What? In My Back Yard?!》(갤러리바톤, 2022), 《랍스터 쿼드릴》(챕터투 야드, 2020) 등을 개최했고, 《Faint Afterglow》(갤러리바톤, 2023), 《시적 소장품》(서울시립미술관, 2022), <부천국제판타스틱 영화제 2021> 등에 참여했다.

이민선
이민선은 서울대학교 조소과 학부, 석사를 졸업하고, 로열 칼리지 아트에서 조각 석사를 받았다. 《필사의 유머》(탈영역 우정국, 2020), 《실제 있었던 일인데》(프로젝트스페이스 사루비아다방, 2018) 등을 개최했고 《롱디의 맛》(중간지점, 2022), 《Dead/Line》(화이트노이즈, 2022) 등의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오는 6월 CR Collective에서 개인전을 앞두고 있다.

홍정표
홍정표는 홍익대학교 조소과 학부, 석사를 졸업하고, 개인전 《Untitled title》(313 아트프로젝트, 2021), 《나에게만 중요한 일》(HRD Fine Art, 교토, 2018) 등을 개최했다. 《‘Lady Dior as seen by’ project》(Michael Fuchs gallery, Berlin, 2021), 《Title match : 금누리 vs 홍정표》(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2015)에 참여했다.

SW기획(김방주, 한승우)
SW기획은 1962년도에 전라남도 순천에서 발생한 수해 연구를 위해 3명의 미술작가와 영화감독, 건축가가 결성한 프로젝트 그룹이다. 이번 전시 《오프-타임》을 위해 미술작가 김방주와 건축가 한승우에 의해 다시 소환되었다. SW기획은 본 전시를 계기로 누구의 것도 아니고, 무엇을 위해서 모인 그룹도 아닌 애매모호한 정체성을 갖게 되었고, 이러한 특징을 정체성의 일부로 받아들이기로 한다.

 

출판물 소개

본 출판물은 2023년 아트센터 예술의 시간에서 열린 전시 《오프-타임》의 도록이다. 전시는 신자유주의 내면화가 만연한 시대에 효율성 기계가 된 개인의 삶을 돌아보기를 제안한다. 전시 제목 ‘오프 타임 Off time’은 기계가 작동되지 않는 비작동 시간을 의미하는 단어로, 이 시간이 줄어들수록 생산자의 이익은 증가한다. 전시는 효율적인 생산성을 중시하는 오늘날 현상에 주목하고, 사회⋅정치⋅경제적 측면뿐 아니라 주체에게도 내면화된 합리성을 의도적으로 배제해보며 ‘하지 않는’ 것을 선택하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생산성 그래프에서 우상향 곡선만을 추구하는 획일성을 벗어나,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을 선택하는 행위가 갖는 잠재성이 가지고 있는 무수한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합리적이라고 생각된 조건에서 벗어나 본 이번 전시는 배윤환, 홍정표, 이민선, 강민숙, SW기획의 작품을 통해 자본주의의 기준에서 소외된 것들에 관심을 가지길 요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