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agram

삶의 다섯가지 질문

출판물 정보

글_고충환, 김승영, 박춘호
번역_임성연
감수_러셀기반
디자인_이수현(그루아트)
사진_김용관, 박홍순, 조영하
영상_현창민

주최_우성 김종영기념사업회, 매일경제신문
후원_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작가소개 & 출판물 소개

본 도록은 설치미술가 김승영의 제 16회 김종영미술상 수상 기념으로 개최된 2024년 개인전을 담은 책이다. 작가가 바라보는 삶과 사회에 대한 다섯 가지 질문을 입체, 설치, 영상 작품으로 선보이며 이에 대한 미술평론가, 큐레이터, 작가의 글과 작품 이미지로 엮었다.

김승영은 물의 작가, 성찰과 사유의 공간을 작품으로 보여주는 작가로 알려져 있다. 1980년 후반부 터 물, 이끼, 숯, 돌, 낙엽, 냄새 등을 비롯한 자연재료와 함께 빛과 음향, 사진, 기계장치 등의 다양한 매체로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지속해왔던 자아정체성과 존재에 대한 탐구는 1997년 이후 인간관계 와 사회에 대한 관심으로 확장되었다. 1999년 뉴욕 P.S.1 MoMA 국제레지던시 참여 후 다양한 국가 의 언어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한 인간의 소통과 욕망,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라지는 것 들에 관심을 갖고 낡은 스피커, 의자, 빛바랜 사진과 같이 잊혀져가는 사물에 새로운 형태와 의미를 부여해 삶의 흔적을 공간에 투영시켜 깊은 성찰의 공간을 보여주고 있다.
2019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된 <영월 창령사 터 오백나한 – 당신의 마을을 닮은 얼굴>전을 통 해 선보인 바닥의 벽돌과 이끼를 사용한 작품 <Are you free from yourself>와 스피커 설치작품 <타 워>가 많은 호평을 받아 2021년 한-호주 수교 60주년 기념으로 시드니 파워하우스 뮤지엄에 초대 되었다. 2023년 국립세계문자박물관 개관전에 초대되어 설치된 작품 <바벨탑>은 여러 국가에서 만 든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 1700여 개를 사용했다. 성경에 나오는 바벨탑의 높이 쌓아 올라가려는 인 간의 욕망을 재해석하고 언어의 기원과 다양성의 출발선에 있는 바벨탑의 형상으로 제작했다.
김승영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부산시립미술관, 대구미술관, 울산시립미술관, 백남준아 트센터, 김종영미술관, 사비나미술관, 뮤지엄 산, 환기미술관, 국립춘천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 국립 경주박물관, 시드니 파워하우스 뮤지엄, 루카현대미술센터, 광주비엔날레, 강릉국제비엔날레 등의 여러 미술관 위주의 전시에 참여했다. 2001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인 <Picnic on the Ocean> 은 영은미술관, 뉴욕 P.S.1 MoMA와 필라델피아 현대미술관 등 여러 미술관에서 초대되었다.
1999년 뉴욕 P.S.1 국제 레지던시 참여 이후 프랑스 CEAAC을 비롯한 2008년 몽골, 2012년 남극, 2014년 바이칼호 노마딕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그밖에 국립고양스튜디오, 경기창작센터 파일럿 스튜디오에 참여했다. 주요 수상으로는 2022년 김종영미술상, 2020년 전혁림미술상, 1998 년 동아미술상 대상, 1997년 모란조각대상전 우수상, 1997년 공산미술제 우수상 등이 있다.
주요 작품 소장처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부산시립미술관, 대구미술관, 수원시립 아이 파크미술관, 경기도미술관, 전북도립미술관,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사비나미술관, 토탈미술관, 이화 여대박물관, 경기도박물관, 해인사 성보박물관, 서울시립과학관, 봉산문화회관, 삼성전자 서초사옥, 현대자동차, 안양예술공원, 이천설봉공원, 김해연지조각공원 등이 있다.